본문 바로가기
소식파발마

LOSSTIME 분석법

by 콴린진 2021. 7. 24.

 

 

Losstime 분석법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Losstime을 분석한다는 것은 Loss 원인들과 이유를 일일이 확인하고 해당 Losstime에 대한 귀책을 따져 결국에는 그 Loss를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표명된 행동인데요. 오늘은 Losstime의 정의에서부터 Losstime 분석법까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Losstime 정의

     

    | Losstime 정의

     

    Losstime 이란 말 그대로 버려진 시간, 잃어버린 시간을 뜻합니다. 보통 산업현장에서 Losstime 이라는 것은 매우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로 인식되는데요. 그 이유는 Loss라는 것이 생산의 반대 개념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즉, Loss 가 많다는 것은 생산 결과물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건 바로 수율이 매우 낮다. Loss가 매우 크다라는 말고 같은 뜻을 가진 표현이 된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Losstime 분석법

     

    | Losstime 분석법

     

    그래서 우리는 최대로 Losstime 을 줄이고 없애는 노력이 필요한데요. 그런 최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줄이고 없애려는 행위 이전에 별도로 Losstime 분석법을 통해서 Loss 내역들을 살펴보고 해당 Loss 가 발생한 사유들에 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Losstime 분석을 위해서 우리는 먼저 Loss 를 정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들 사용하는 Loss 항목으로는 Job Change (품종 교체를 할 때 들어가는 Loss), 설비보전, 자재부족, 생산 Trouble 등이 있습니다. 거기에 상당수의 Loss를 차지하는 Test 같은 것도 일종의 Loss로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Test 의 성질이 양산으로는 들어가지 않지만 매출에 기여하는 매출 기여 Test 라면 별도로 볼 필요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Test 들은 매출에 당장 기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먹거리를 위해서 필요한 종류이므로 Loss 항목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Loss 항목들이 정해지면, 현장에서는 전산처리를 하거나 수기기록부를 작성을 할 때 이런 정해지고 약속된 Loss 항목에 따라 Losstime을 기록해야 합니다.

     

    그렇게 한주, 한달, 분기, 연간으로 data를 꾸준하게 누적 관리할 필요가 있고, 이렇게 관리한 data는 주, 한 달 단위로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런 Loss 가 발생한 이유와 사유를 확인하고 발생인자를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Losstime 관리법을 통해서 우리는 현장에서 알게 모르게 빠져나가고 있는 시간이 무엇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런 Losstime의 개선활동을 통해서 숨겨진 돈을 찾아내고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Losstime 관리법의 최종 궁극적인 목적인 원가개선에 있고, 원가개선은 곧 기업체 혹은 사업의 수익성 향상으로 귀결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생산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Losstime에 대한 관리가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Losstime 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봤고 이런 Losstime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Losstime을 관리하고 줄이려는 별도의 TF를 조직해서 더 나은 효율과 이익을 쟁취하는 사업을 하시기 바랍니다.

     

     

    진척률 관리법 정의

    오늘은 진척률 관리법이라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볼까 합니다. 생산관리를 하시는 분이나 공정관리 또는 출하관리를 하는 분들께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 목차  진

    mj70.tistory.com

     

    광폭생산의 유용성

    오늘은 광폭생산의 유용성이라는 제목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광폭생산의 반대 개념은 소폭 생산이 되겠고, 당연히 소폭 생산보다 많은 이점이 있기 때문에 광폭생산의 유용성이 있다고 할

    mj70.tistory.com

     

    종합수율 산출법

    오늘은 종합 수율 산출법이라는 제목으로 나름의 블로그 강의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앞으로 당분간은 이 블로그에 생산관리의 기본과 관련된 내용을 주로 다뤄볼 예정입니다. | 수율이란? 수율

    mj70.tistory.com

     

    sqm 단위 산출법

    오늘은 다소 생소할 수 있는 sqm라는 단위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볼까 하는데요. sqm 정의부터 단위 산출법, 그리고 어떻게 써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SQM 정의 | sqm 정의 sqm

    mj70.tistory.com

     

    '소식파발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end 분석표 만드는 방법으로 적정재고량 관리  (0) 2021.07.28
    레쥬메 관리표 만드는 방법  (0) 2021.07.27
    광폭생산의 유용성  (0) 2021.07.23
    진척률 관리법 정의  (0) 2021.07.22
    sqm 단위 산출법  (0) 2021.07.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