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레쥬메 관리표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하는데요. 먼저 레쥬메가 무엇인지부터 짚어보고 그 이후에 관리표를 만들어서 어떤 효용성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 목차
레쥬메 정의
| 레쥬메 정의
레쥬메란 Resume 즉, 이력서를 말합니다. 이력서의 영어이름이 레쥬메이고 일반적으로 이력서라고 표현하지 않고 레쥬메라고 표현하는 경우는 외국계 기업에 지원하는 이력서를 가리키는데요. 한국 회사만 들어갈 것이 아니기 때문에 레쥬메로 통합해서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레쥬메 관리표란?
| 레쥬메 관리표란?
레쥬메 관리표란 레쥬메를 관리하는 일종의 관리 시트를 말합니다. 레쥬메 관리표를 작성해서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한 직장에 레쥬메를 넣어서 단번에 합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즉, 여러 회사에 동시다발적으로 내 레쥬메를 송부하거나 접수를 시켜야 하고, 그 일정이 서로 상이하며, 제출하는 레쥬메의 종류나 입사지원 신청항목, 입사지원 날짜와 서류 발표일, 면접일정 등이 모두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그 외 다른 필요한 정보들도 레쥬메 관리표 안에 들어가야 하는데요. 어떤 항목이 들어가야 하는지, 또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레쥬메 관리표 작성방법
| 레쥬메 관리표 작성방법
레쥬메 관리표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 외에, 내가 지원하는 회사의 정보와 관련한 내용도 적어주는게 좋습니다. 필요한 정보는 회사의 매출 규모, 영업이익률, 순이익 금액, 직원 명수, 코스닥 코스피 상장 여부, 평균 근속연수, 연봉 수준, 업력 등이 되겠습니다.
처음 취업을 꿈꾸는 사람들은 그저 단순하게 자신이 받을 연봉과 회사의 위치 등만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입사 이후에 얼마 버티지 못하고 나가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 이유는 막상 들어가봤더니 업무량 대비 사람이 너무 적어서 일이 너무 많거나, 내 연봉 수준을 보고 들어갔으나 회사의 실적이 좋지 못해 인센티브를 전혀 받지 못한다던가. 또 평균 근속연수가 매우 낮아 퇴사가 잦은 회사라든가. 이런 영향으로 인해서 회사를 오래 다니지 못하는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제가 만드는 레쥬메 관리표는 최소 아래 항목과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레쥬메 관리표로 내가 언제 입사지원을 했고, 서류합격 발표일이 언제인지, 지원한 회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수준이 어떤 수준인지 등을 한눈에 알아보고 서로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당연히 자동으로 스케쥴링 기능이 들어가기 때문에 내가 지원하는 수많은 회사들에 지원일을 놓치거나 실수해서 서류를 잘못보내거나 늦게 보내는 등의 바라지 않는 일도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가 가능합니다.
구분 | 회사명 | 지원일 | 지원업무 | 연봉수준 | 직원수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A회사 | ||||||||
B회사 | ||||||||
C회사 |
구분 | 평균 근속년수 |
주식 상장여부 |
지역 | 서류합격 발표일 |
면접일정 | 합격자 발표일 |
기타 | 비고 |
A회사 | ||||||||
B회사 | ||||||||
C회사 |
저는 위에 블로그 특성상 표로 그려 넣었지만, 여러분들은 편리하게 정렬해보고, 찾아볼 수 있도록 MS OFFICE EXCEL 을 이용하시면 편리하게 작성하고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엑셀로 레쥬메 관리표를 만들어서 운영하면, 내가 원하는 조건을 걸어 소팅을 해본다던지, 연봉순으로 내림차순 나열이나 가까운 일정별로 선별해서 꼼꼼하게 생각하고 취업준비를 빠짐없이 준비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레쥬메 관리표라는 일종의 관리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사실 무슨 일을 하든지 이런 관리표를 만들어서 일정을 쪼개서 보고 미리미리 확인해보는 습관은 매우 유용한 것 같습니다.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LOSSTIME 분석법
Losstime 분석법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Losstime을 분석한다는 것은 Loss 원인들과 이유를 일일이 확인하고 해당 Losstime에 대한 귀책을 따져 결국에는 그 Loss를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표명된 행동인
mj70.tistory.com
광폭생산의 유용성
오늘은 광폭생산의 유용성이라는 제목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광폭생산의 반대 개념은 소폭 생산이 되겠고, 당연히 소폭 생산보다 많은 이점이 있기 때문에 광폭생산의 유용성이 있다고 할
mj70.tistory.com
진척률 관리법 정의
오늘은 진척률 관리법이라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볼까 합니다. 생산관리를 하시는 분이나 공정관리 또는 출하관리를 하는 분들께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 목차 진
mj70.tistory.com
sqm 단위 산출법
오늘은 다소 생소할 수 있는 sqm라는 단위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볼까 하는데요. sqm 정의부터 단위 산출법, 그리고 어떻게 써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SQM 정의 | sqm 정의 sqm
mj70.tistory.com
종합수율 산출법
오늘은 종합 수율 산출법이라는 제목으로 나름의 블로그 강의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앞으로 당분간은 이 블로그에 생산관리의 기본과 관련된 내용을 주로 다뤄볼 예정입니다. | 수율이란? 수율
mj70.tistory.com
'소식파발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깔 엑셀 데이터 관리법 (0) | 2021.07.29 |
---|---|
Trend 분석표 만드는 방법으로 적정재고량 관리 (0) | 2021.07.28 |
LOSSTIME 분석법 (0) | 2021.07.24 |
광폭생산의 유용성 (0) | 2021.07.23 |
진척률 관리법 정의 (0) | 2021.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