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파발마

품명품번 관리법 알아봅니다.

by 콴린진 2021. 7. 30.

 

 

안녕하세요. 이번 주에 지속적으로 생산관리와 공정관리 관련한 내용들을 언급하며 포스팅을 채워가고 있는데요. 오늘은 운영 관점에서 유리한 품명 품번 관리법이라는 제목으로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 목차

     

     

     

     품명품번이란?

     

    | 품명품번이란?

     

    품명품번이란 제품품명, 제품품번, 반제품 품명, 반제품 품명, 원자재 품명, 원자재 품번 같은 것을 가리킵니다. 이런 품명품번을 만들어 사용하는 이유는 담당자 이외의 사람들이 그것을 보고 서로 공통적으로 무엇인지 인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인데요.

     

    그에 더해 각 품명품번 별로 BOM (Bill Of Materials) 을 연동시키거나 생산조건이나 Recipe, 제조조건이나 공정조건들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고 이런 기능의 통합을 통해 흔히 말하는 ERP, MRP 를 구축하고 시스템을 돌릴 수 있게 됩니다.

     

     

     

     

     품명품번 관리법

     

    | 품명품번 관리법

     

    그러면 이런 품명품번은 어떻게 만들어야 관리하기 용이하고 좋고 편리하게 모두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품명품번을 만들 때에는 품명을 보고 한눈에 이게 어떤 제품을 뜻하는 것인지 이게 어떤 조성을 가지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품인지 알아볼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하나 임의 품명을 만들어서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AB-BB-P520-MBPT 라는 품명이 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제가 지금 포스팅을 하면서 마시고 있는 음료수를 가리켜 만든 제품 품명인데요. 해석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A (2021년) B (B공장이 만든) - BB (블랙 보리) - P (Product, 제품) 520 (520ml 제품) - MB(멕문동+보리제품)PT(PeT 용기)

     

    이렇게 품명을 만들고 앞으로 유사한 제품이 있을 때마다 유사한 패턴의 품명 체계를 가지고 간다면 같이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품명 하나만 봐도 어떤 제품인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이 어떤 재질의 용기에 담기는지, 용량은 얼마짜리인지, 원재료는 어떤 것이 들어가는지, 또 언제 만든 것인지, 어디에서 만든 것인지 한 번에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드린다고 드렸는데, 다 이해를 하실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마시는 음료수를 예로 들었지만 여러분은 여러분이 필요한 용도에 맞게 각 품명품번의 자리를 정의하고 그 정의에 따라 품명을 전개해가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매월(month)을 표현할 때 1~9월은 숫자 그대로 1~9로, 10월은 A, 11월은 B, 12월은 C로 표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같은 방식으로 1 공장의 경우에는 A, 2 공장은 B, 3 공장 C로 표현해 품명 품번 체계를 정의하고 관리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품명품번 관리법으로 편리한 공정운영, 생산운영하시기 바랍니다.

     

     

    색깔 엑셀 데이터 관리법

    오늘은 색깔 엑셀 데이터 관리법이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엑셀을 자주 다루고 자주 사용하시는 분들께 꼭 필요한 내용이니 참고하셔서 효율적인 업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mj70.tistory.com

     

    Trend 분석표 만드는 방법으로 적정재고량 관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Trend 분석표 만드는 것을 예시를 통해서 설명드리고, 이런 Trend 분석표로 할 수 있는 적정 재고량 관리하는 기능까지 한번 설명을 드려볼까 합니다.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mj70.tistory.com

     

    레쥬메 관리표 만드는 방법

    오늘은 레쥬메 관리표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하는데요. 먼저 레쥬메가 무엇인지부터 짚어보고 그 이후에 관리표를 만들어서 어떤 효용성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드려 보겠

    mj70.tistory.com

     

    LOSSTIME 분석법

    Losstime 분석법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Losstime을 분석한다는 것은 Loss 원인들과 이유를 일일이 확인하고 해당 Losstime에 대한 귀책을 따져 결국에는 그 Loss를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표명된 행동인

    mj70.tistory.com

     

    댓글